Dual Perspectives on Wansuh Park — A Digital Analysis Explores Institutional and Gender Studies —
(두 박완서, 제도와 젠더 혹은 디지털 작가 연구의 시좌 — 2010년대의 『여성문학연구』를 중심으로 —)
Published in CONCEPT AND COMMUNICATION, 2024
Recommended citation: Choi, J., Choi, S., Kim, B., Huh, Y., Choi, J., & Hwang, H. (2024). Dual perspectives on Wansuh Park — A digital analysis explores institutional and gender studies. Concept and Communication, 34, 131–175. https://doi.org/10.15797/concom.2024..34.004
Online link
Github
Download paper here
Abstract
Park Wan-suh (1931~2011) is now considered a notable scholar. This study argues that her status, as such, results from some rapid changes which took place in the 2010s. By examining reviews of Park’s works during the 2010s, this study identifies fluctuations in the scholarly appraisals of her work and discusses the extent to which they were influenced by the initiatives of contemporary literary journal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the academic landscape of the 2010s led to a major shift in Park Wan-suh studies, especially after her death in 2011, and with the ‘feminism reboot’ of 2015. Following up on this, the present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was a marked change in the citation frequency of Park Wan-suh’s works, and also checks the flow and content of research trends before and after 2015. Using statistical analysis and citation network analysis, digital humanities are our basic methodology, but we also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uch quantitative means by some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of the researcher was a significant variable in the tendency of academics to study Park Wan-suh. Citation frequency analysis shows that male researchers cited Park more in the first half of the 2010s and female researchers more in the second half of the 2010s.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focus: male researchers focused on Park’s works from the 1970s, especially during 2011, while female researchers cited her novels from the 1990s, starting in 2018. The reversal of the researchers’ gender ratio has thus led to a diversification of their research objects. Second, keyword analysis shows that after 2015 there was an increase in gender-related terms, and also those associated with seniority, whereas the use of words related to the Korean War decreased. Third, through citation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e found that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has emerged as an important hub for Park Wan-suh research since 2015. As well as publishing many articles connected with Park Wan-suh, this journal has also established a network of Park Wan-suh researchers who are academically linked through their citations. Thus, the current study effectively illustrates changes in the trend of Park Wan-suh research since 2008, and also establishes how deliberate and motivated academic initiatives have driven these changes.
초록
이 글은 박완서의 위상이 2010년대 들어 급격한 변화를 겪은 산물이었다는 지점에서 착안한 연구이다. 2010년대 박완서 연구사에 대한 검토를 통해 박완서 연구의 학술 적 변동을 추적하고, 이 변동에 현대 문학 학술지의 학술 기획이 미친 영향의 정도를 확인하겠다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이다. 선행 연구를 통해 2010년대 학술장의 흐름, 특히 2011년 박완서 타계와 2015년 ‘페미니즘 리부트’가 박완서 연구에서 큰 전환이 이루어지는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이 글은 박완서 저작 인용 논문의 인용 빈도 변화상 분기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2015년 전과 후의 연 구 경향에는 어떤 변동이 있는지 그 흐름과 내용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통계 분석, 인용 네트워크 분석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했다. 이 연구는 디지털 인문학을 기 본 방법론으로 삼되, 질적 분석을 병행함으로써 양적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 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RI상 연구자의 성별이 학계의 박완서 연구 경향 에 유의미한 변수임을 확인했다. 박완서 저작 인용 빈도 분석 결과, 2010년대 전반에 는 ‘남성 연구자’들이, 2010년대 후반에는 ‘여성 연구자’들이 박완서를 많이 인용한 것이다. 이는 박완서 연구의 저작 시대 트렌드 변화와도 관계가 있었는데, ‘남성 연구 자’들은 특히 2011년에 1970년대 작품을 집중적으로 연구한 반면 ‘여성 연구자’들은 2018년 이후부터 1990년대 소설을 인용하는 비중이 대폭 늘어나, ‘박완서 연구자’의 성비 역전이 연구 대상의 다변화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키워드 분석을 수 행한 결과 2015년 이후에 발표된 논문들에서 젠더 관련 키워드와 ‘노년’ 관련 키워드 가 이전보다 더 많이 사용 반면, 한국 전쟁 관련 키워드의 사용이 감소되었음을 확인 했다. 셋째, 인용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여성문학연구』가 2015년 이후 박완서 연구의 중요 거점으로 부상했음을 확인했다. 『여성문학연구』는 박완서 관련 논문이 많이 실렸을 뿐 아니라, 인용을 통해 서로 학술적으로 연결되는 박완서 연구 자 네트워크를 구축해 낸 학술지이기도 했다. 이상의 작업을 통해 2008년 이후 박완 서 연구의 동향 변화, 그리고 그 변화를 추동한 동력으로서의 학술 기획의 존재를 시 각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