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ssibility of Bibliometric-based Conceptual History Research
(계량서지학 기반 개념사 연구의 가능성)
Published in CONCEPT AND COMMUNICATION, 2021
Recommended citation: Byungjun Kim. (2021). "The Possibility of Bibliometric-based Conceptual History Research." CONCEPT AND COMMUNICATION. 28.
Online link
Download paper here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showcase the potential for scholarly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conceptual history or intellectual history by engaging in various digital humanities initiatives and studies, employing a trial and error approach. The proposed research in conceptual history will employ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meta-bibliometrics as the primary data sources and approaches. Traditional approaches to conceptual history research have focused on analyzing various forms of literature, such as periodicals, newspapers, and literary work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s and applications of concepts. Indeed, both conceptual history study and humanities research employ historical texts as primary sources. Regardless of whether the texts are approached through qualitative reading or quantitative analysis, the primary source for study is the existing body of literature. While it is customary for historians to engage with historical texts and literary researchers to analyze literary works, it is worth considering whether other forms of material can also be considered as texts. In the realm of conceptual history research, when a certain concept encompasses a multitude of knowledge, which text is most suitable for containing this knowledge? Examining the bibliographic details, including the title, abstract, keywords, and references, of a scholarly article is a research endeavor aimed at exploring the evolution of a certain academic discipline via the lens of conceptual historical investigation.
초록
이 글은 여러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와 연구에 참여하면서 겪은 시행착오를 통해 개념사 혹은 지성사 영역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발견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쓴 것이다. 필자가 개념사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와 방법론으로 제안하는 것은 바로 논문의 서지 정보와 계량서지학이다. 기존 개념사 연구에서는 문헌(잡지, 신문, 문학작품 등)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개념의 역사적 변화 양상과 그 활용을 탐구해왔다. 사실 개념사 연구뿐만 아니라 인문학 연구는 과거 문헌을 텍스트 삼아 연구를 진행한다. 텍스트를 질적 방법으로 읽어내든, 양적 방법으로 분석하든 연구의 원료는 과거 문헌이었다. 여기서 필자는 불온한 생각을 하게 되는데, 왜 꼭 과거 문헌만이 인문학 연구의 재료인가? 역사학자가 사료를, 문학 연구자가 문학작품을 읽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하더라도 그 외에 다른 자료는 텍스트가 될 수 없는가? 특히 개념사 연구에서 개념이 여러 지식의 총체라고 했을 때 지식을 가장 잘 담고 있는 텍스트는 무엇인가? 바로 연구자들이 매일 읽고 쓰는 논문이 아닐까? 논문에 담긴 서지 정보(제목, 초록, 주제어, 참고문헌 등)를 분석한다면 연구에 관한 연구, 즉 특정 학문 영역의 역사를 조망해 개념사 연구로서 가능성이 있겠다는 무모한 도전인 셈이다.